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전기차 보조금 6가지 기준

by 아빠차나왔다 2024. 2. 14.

안녕하세요 아빠차입니다. 이번포스팅은 전기차 보조금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기준이 복잡해지면서 따져야 할 것도 많아졌는데요. 아래 내용을 잘 확인하셔서 전기차 구매 계획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4년 전기차 보조금 6가지 기준

 

 

1. 차량 가격: 5500만원 이하 전기승용차만 100% 보조금 적용

반응형

전기승용차를 구매하려면 가격이 5500만 원을 넘지 않아야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200만 원 줄어든 금액입니다. 특히 테슬라의 모델 Y는 지난해에는 보조금 100% 지원 대상이었지만, 올해는 아닙니다. 5500만 원~8500만 원인 차량은 보조금을 50%만 받을 수 있고, 8500만 원이 넘으면 국고 보조금 지원이 없습니다.

2024년 전기승용차 보조금은 차량 가격이 5500만원을 넘지 않는 경우에만 100% 받을 수 있습니다.

 

2. 주행거리: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500㎞를 넘어야

전기차 보조금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성능보조금'입니다. 이는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500㎞를 넘어야 성능보조금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주행거리가 400㎞ 미만일 경우, 보조금이 크게 줄어듭니다.

  • 500km 이상 주행: 최대 650만원
  • 400km 이상 500km 미만: 최대 500만 원
  • 400km 미만: 최대 400만 원


3. 배터리 종류: NCM과 LFP 배터리의 차이

2024년부터는 배터리의 종류도 보조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국산 전기차는 대부분 NCM 배터리를 사용하고, 테슬라 등 수입차는 LFP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LFP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고, 배터리의 수명이 끝난 후 회수할 수 있는 유가금속도 NCM 배터리에 비해 가치가 떨어집니다.

  • 2024년 전기차 보조금은 배터리 종류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4. AS센터 및 충전기 보급 상황: 보조금으로 인센티브 제공

전기차의 AS센터 개수도 보조금을 받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국 8개 권역에 직영 정비센터를 1개 이상 운영해야 성능보조금이 깎이지 않습니다. 또한, 급속충전기를 많이 보급하는 제조사 차량을 구매하면 추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4년 전기차 보조금은 AS센터 개수와 충전기 보급 상황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5. 첨단 기술 적용여부: 고속충전, V2L, OBDⅡ 등

고속충전이 가능한 차량, 외부에서 전기차 배터리의 전력을 끌어다 쓸 수 있는 V2L 기술이 가능한 차량, 그리고 국제 표준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Ⅱ)를 탑재한 차량에는 추가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 2024년 전기차 보조금은 첨단 기술을 적용한 차량에 대해 추가로 지원합니다.

 

6. 보급목표이행보조금: 제조사의 친환경차 보급 목표달성여부

'보급목표이행보조금'은 전기차 제조업체가 친환경차를 일정 수준 이상 보급하면 주는 인센티브입니다. 이 항목은 현재 제조사 10곳에만 적용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자체별 보조금은 국고 보조금과 별개로 추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자신의 거주지역의 지자체 보조금 혜택을 꼼꼼히 챙겨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전기차 보조금에 영향을 주는 6가지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